COMMUNICATION
CONVERGENCE
MEDIA
RELATIONS
PUBLIC
CONVERGENCE
amp
MASS

과목소개

매스커뮤니케이션론(Mass Media & Communication Theories)

매스커뮤니케이션의 기원과 발전 과정, 매스컴 개념의 특수성과 일반성, 미디어의 발전과 미디어를 둘러싼 환경 및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영향력과 사회적 관계, 저널리즘 현상 등 매스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제반 이론의 기초를 학습한다.

저널리즘의이해(Understanding Journalism)

저널리즘의 등장과 발달과정 그리고 구성 요소, 본질 및 기능 전반을 소개하고 온·오프라인 저널리즘의 현재와 미래를 다룬다.

디지털과미디어융합(Digital and Media Convergence)

디지털기술의 발달에 따른 방송통신융합 현상을 이해하고 이와 관련된 기술적·산업적·제도적·문화적·사회적 변화 양상 현상을 포괄적으로 다룬다. 해당 전공에 필요한 기초 지식을 제공하는 교과목이다.

언론과윤리(Media and Ethics)

저널리즘의 궁극적 가치에 대한 숙고를 바탕으로 자유언론과 언론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판단의 기초, 언론의 자율적 직업윤리체계, 각종 언론윤리강령의 내용 등을 검토함으로써 미디어 종사자의 윤리적 수준을 높이는 소양을 배양한다.

미디어콘텐츠저작권(Media contents and Copyright)

미디어콘텐츠 저작권의 중요성과 그 침해에 따른 제반 문제점에 대해 배운다. 인터넷시대에 만연하고 있는 저작권 침해의 실태와 국내외의 저작권법 내용을 함께 학습한다.

미디어조사연구방법(Research Methodology for Media)

미디어조사방법론은 미디어 연구의 기초가 되는 다양한 방법론적 접근을 다룬다. 미디어 조사방법은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으로 나눠진다. 양적 연구방법에서는 데이터 수집을 위한 설문지 작성법, 질적 연구방법에서는 참여관찰방법, 인터뷰기법, 사례연구 등이 포함된다. 학위논문작성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방법론을 숙지하고 연구함으로써 실제 논문을 작성할 수 있는 절차를 습득하게 된다.

미디어통계연구방법(Statistical Methodology for Media)

미디어통계방법은 사회현상을 수치로 나타낸 통계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 강좌가 지향하는 바는 통계방법에 의한 데이터 수집, 데이터 분석, 그리고 논문 작성을 위한 통계프로그램 활용 등이다. 즉 통계적 원리와 기법들에 대하여 이해하고 이를 언론학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프로그램 활용 방법 등을 습득하는 과목이다.

디지털스토리텔링(Digital Storytelling)

비선형적 스토리텔링을 다루는 디지털스토리텔링은 웹, 모바일 미디어, 그리고 IPTV와 같은 융합미디어에서 핵심적인 콘텐츠 기술방식이다. 기술과 내러티브방식을 동시에 이해해야 하는 교과목이다.

미디어경영론(Media Management)

미디어 기업을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경영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 교과목이다. 미디어 경영의 개념, 미디어 기업의 의사결정구조, 미디어 조직의 이해 등 미디어 경영의 기초 개념을 이해하고 융합미디어 환경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경영변수들을 다룬다.

미디어정책(Media Policies)

미디어와 정부의 관계를 중심으로 각종 미디어와 관련된 정책의 입안을 위한 고려 사항 및 정책의 집행 과정에서 제기되는 제반 문제점을 분석하여 더욱 발전적인 미디어 정책 방안을 모색한다.

미디어인터페이스의이해(Understanding Media Interface)

이용자와 미디어가 만나는 접점 기술인 인터페이스의 개념을 이해하고, 새로운 미디어 인터페이스 트렌드를 분석한다. 아울러 융합미디어의 인터페이스 개선을 평가하는 유용성분석 등의 평가기법을 학습한다.

미디어리더십세미나(Seminar for Media Leadership)

장기적인 관점에서 미디어가 어떻게 발전할 것인가에 대한 메가 트렌드를 배우는 교과목이다. 인문학, 영화와 같은 가상 콘텐츠에 반영된 미래사회의 미디어 상 등을 소재로 미래 미디어의 핵심 개념을 그려본다. 미래학 연구를 기반으로 한 사회구조 변동의 트렌드를 읽고 미디어 산업에 접목해 본다.

창조적사고기법-아이디어개발론(Creative Thinking Method)

인간의 타고난 독창성을 높이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하는 사고기법을 배양함을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으로 기사의 작성을 비롯한 미디어 콘텐츠 개발, 사업 아이디어의 개발과 발표, 논쟁과 토론 등을 동반하는 회의 기법을 학습한다.

미디어발달사(Media Development History)

세계 각국의 미디어가 역사 시기별로 과학기술과 미디어 조직의 결합에 의해 어떠한 사회적 존재 조건에서 어떻게 발생되고 발전하게 되었는가를 역사적으로 살피고, 최근의 획기적인 과학 기술 발전에 따른 미디어 융합의 가능성을 점검한다.

정치커뮤니케이션(Political Communications)

정치적 목적을 지닌 각종 커뮤니케이션 활동과 현대 정치의 특징인 미디어 정치의 등장 배경 및 발달 과정, 미디어 선거와 미디어의 자세 및 여론의 형성과 변용 과정, 선전과 국내외의 정치 등을 학습한다.

인간커뮤니케이션(Human Communication Theories)

인간커뮤니케이션의 발생과 그 확장 과정 및 여러 수준에서의 소통 증진을 위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관한 기술적(記述的)·실험적·역사적·비판적·철학적 방법을 검토하고 인간커뮤니케이션의 사회학적·심리학적 기초를 탐색한다.

미디어와문화연구(Cultural Approaches to Media)

미디어와 문화에 대한 제반 이론과 현상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특히 서구 문화연구 전통의 핵심 주제와 연구 내용 및 문화 분석의 실제 등을 조망하고 실습함으로써, 미디어와 사회의 상호관련성을 비판적 입장에서 정리하고 이를 재 비판 할 수 있는 지성능력을 배양한다.

미디어정치경제학(Media & Political Economy)

미디어의 콘텐츠와 힘이 미디어의 소유와 경제적 통제 등의 경제적 토대 부문에서 형성된 이데올로기로 보고 연구의 초점을 미디어 생산의 경제적 과정과 구조에 두어 매스미디어를 탐구한다.

신문론(Introduction to Newspapers)

신문의 일반적 성격과 발달 과정, 사회적 기능, 신문사의 조직구조와 운영, 신문과 타 매체와의 관계, 신문의 미래 등 신문에 관한 전반적인 이론과 전망을 체계적으로 다룬다.

잡지론(Introduce to Magazine)

온·오프라인 잡지의 이론, 실무 등에 관하여 사례별로 살펴보며 실제 잡지시장의 매커니즘을 배운다.

온라인저널리즘(Online Journalism)

새로운 저널리즘으로 떠오르고 있는 온라인 저널리즘에 대해 배운다. 오프라인 저널리즘과의 차이점과 특성 그리고 취약점도 아울러 다룬다.

블로그저널리즘(Blog Journalism)

새로운 형태의 미래형 저널리즘으로 자리 잡고 있는 블로그에 대해 배운다. 운영자가 갖가지 분야에 대한 개인적인 관심과 식견을 바탕으로 특화된 정보를 제공하고 의견과 논평을 통해 다수의 독자층을 확보하고 있는 블로그는 기존의 주류 언론에 못지않게 그 중요도가 증가하고 있다.

포토저널리즘(Photographic Journalism)

인쇄매체에서 다루어지는 사진에 관하여 기본 원칙과 이를 활용한 보도사진 촬영기법 및 사진의 현상과 인화에 관련된 제반 문제들을 분석한다.

한국언론사(Korean Journalism History)

한국 근현대 언론의 실상을 올바르게 파악하여 권력자와 지식인에 의해 왜곡된 한국 언론의 역사를 다시 숙고하게 하고 한국사회와 미디어의 역사를 올바르게 이해하는데 필요한 사료(史料)들을 안내하여 역사적 기록의 진위(眞僞)를 구별하려는 자세를 배양한다.

언론과법(Journalism and Law)

언론자유의 확장을 위한 지성의 고민과 언론자유의 확대에 따른 법적 책임을 탐구함으로써 다원화된 현대사회에서 자유롭고도 책임있는 언론활동을 실천할 수 있는 지혜와 용기를 제공한다.

신문잡지판매론(Print Media Industry)

신문잡지 산업의 조직적 특수성과 보편성을 중심으로 미디어산업의 현실을 이해하도록 한다. 특히 신문잡지판매조직의 특수성과 판매영업전략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디지털미디어산업론(Digital Media Industry)

최근 크게 확장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에 대해 소개한다. 웹 미디어뿐만 아니라 DMB, IPTV 등 뉴미디어 산업 전반에 걸쳐 다룬다.

출판마케팅(Marketing on Publishing)

전자책 등 디지털 출판 시장의 변화에 발맞추어 출판 유통 및 마케팅의 다양한 이론과 기법을 학습한다. 이메일 마케팅, 원소스 멀티유즈를 위한 출판 전략 등을 체계적으로 다룬다.

그래픽과디자인(Graphic and Design)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데 필요한 그래픽과 디자인의 기본 요소와 이론들을 소개하고 아울러 사례 분석 및 실습을 병행한다.

디지털출판콘텐츠기획론(Developing Digital Contents in Publishing)

온라인과 같은 디지털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구체적인 절차와 방법론을 이론적으로 그리고 실무적으로 학습한다. 시장조사기법, 환경분석기법, 구조설계, 내용설계, 네비게이션 설계, 디자인 고려사항, 유용성 평가분석 등을 다룬다.

내러티브라이팅(Narrative Writing)

최근 새로운 유형의 미디어 문장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서술형 글쓰기의 이론과 실제를 소개한다. 또 이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서술형 글쓰기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컴퓨터활용취재보도론(Computer-Assisted Reporting)

컴퓨터를 이용한 다양한 취재 기법을 소개한다. 온라인 취재기법으로는 뉴스 그룹, 이메일 검색, 인명 검색, 웹 검색엔진 활용법, 상용 데이터베이스 이용, 공공DB활용법 등을 다루며, 오프라인 취재기법으로는 엑셀, 엑세스를 활용한 데이터 구축 및 분석 기법을 다룬다.

탐사보도와취재기법(Investigative Reporting and Technics)

탐사보도의 일반성과 특수성의 이해를 기초로 하여 사례별로 취재기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취재기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정보 공개법에 의한 정보 공개를 활용한 탐사보도기법에 대해 배운다.

신문편집실습(Newspaper Editing)

신문사에서 출고된 기사를 편집해서 신문 지면을 완성하는 과정에 대한 이론과 실습을 배운다. 실제로 학생들로 하여금 신문을 직접 만들어 보는 과정을 통해 편집 실무를 익힌다.

뉴스기사작성세미나(Seminar for News writing)

이론수업과 사례연구 현장학습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과정이다. 학생이 선택한 특정 주제에 대해 교수와 상의하여 심층 취재를 수행하여 기사를 작성한다. 또 인물탐구용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여 장문의 기사를 만든다. 이 과정에서 취재와 기사작성의 갖가지 기법들이 적절히 구사된다. 이 세미나는 졸업 논문 대체강좌로 권장된다.

방송통신정책(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Policy)

방송과 통신 정책의 철학, 규제패러다임, 규제장치와 기구, 관련 법령 등을 다룬다. 방송통신융합에 따른 정책기구 및 법령의 변화를 탐구한다.

방송통신융합산업론(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Industry)

방송과 통신산업이 융합됨에 따라 융합미디어 시장의 구조, 기업조직의 변화, 새로운 시장행위 등에 대해 다룬다.

디지털콘텐츠론(Understanding of Digital Contents)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중요성과 새로운 콘텐츠의 창작, 생산, 유통, 소비를 다룸으로써 관련 이슈의 전반적인 이해도를 높이는 교과목이다.

미디어기술의이해(Understanding of Media Technology)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기술발달사 및 방송과 통신의 핵심 요소기술을 이해한다. 미디어 디바이스, 네트워크, 서비스응용 등의 기술요소를 다룬다.

디지털수용자(Digital Audience)

방송통신 융합미디어 환경에서 나타나는 미디어 수용과정의 변화, 수용자의 특성, 수용자 문화현상, 수용자 효과측정 등을 다룬다.

방송저널리즘(Broadcasting Journalism)

저널리즘의 일반적 특성 외에 방송저널리즘의 고유한 특성을 소개하고 방송보도의 구체적 과정과 보도내용의 특성을 다룬다.

미디어경영론(Media Management)

미디어 기업을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경영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 교과목이다. 미디어 경영의 개념, 미디어 기업의 의사결정구조, 미디어 조직의 이해 등 미디어 경영의 기초 개념을 이해하고 융합미디어 환경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경영변수들을 다룬다.

미디어고객관계론(Customer Relationship Strategy of Media)

미디어 기업의 고객관계 유지 및 형성을 위한 관계마케팅을 다루며, 특히 상호작용적인 융합미디어에서 요구되는 커뮤니티와 콘텐츠를 기반으로한 관계형성 전략을 학습한다.

방송영상프로그램기획과제작(Broadcasting Program Producing)

방송영상 프로그램의 제작을 위한 기초 요소를 이해하고 실제 기획과 제작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한다.

방송영상프로그램편성론(Broadcasting Programming)

방송편성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다룬다. 각종 편성 전략에 대한 분류를 바탕으로 경쟁력 있는 편성 지침을 수립한 성공적인 사례를 분석한다.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방송 그리고 인터넷 방송 등 매체별 편성의 특성과 변화 내용을 다룬다.

콘텐츠산업과비즈니스모델(Content Industry and Business Model)

콘텐츠 산업의 유형을 분류하고, 개별 미디어 특성별 콘텐츠 비즈니스 모델을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해서 비교 분석하는 교과목이다. 성공한 콘텐츠 비즈니스 모델을 탐색함으로써 현실감 있는 경험학습을 기대한다.

텔레비전방송론(Understanding of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텔레비전방송의 제도, 규제방식, 정책적 특성, 그리고 최근의 디지털 관련 주요 쟁점 등을 이해시키는 교과목이다. 지상파방송, 위성방송, 케이블방송, CATV 등 다양한 TV플랫폼을 비교한다.

웹미디어론(Understanding of Web Media)

인터넷 기술의 발달이 사회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주류 미디어로서 웹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접근하고, 정치ㆍ사회ㆍ경제ㆍ문화적 차원의 다양한 변화를 사례 중심으로 이해한다.

모바일미디어론(Understanding of Mobile Media)

모바일폰, PMP, 무선인터넷단말기 등 휴대형 미디어의 증가에 따라 시간과 공간적 측면에서 미디어 이용행동에 많은 변화가 일고 있다. 모바일 미디어 산업의 특성과 모바일 콘텐츠의 생산과 소비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교과목이다.

네트워크기술과운영(Network Technology and Operation)

방송통신융합 환경은 모든 미디어가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디어간 네트워크 기술을 이해하기 위해 유·무선 네트워크와 관련된 주요 개념과 이들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방법 등을 배운다.

미디어비평론(Media Critics)

텔레비전, 영화, 융합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비평방법을 배우는 교과목이다. 장르비평, 이데올로기비평, 문화비평, 구조비평, 내러티브비평 등 다양한 비평시각과 이론을 정리하고 사례연구를 통해 미디어 비평능력의 향상을 기한다.

미디어비즈니스모델개발세미나(Seminar for Developing Media Business Model)

프로젝트 수업으로서 교수와 학생이 한 학기동안 가상의 미디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는 과제를 수행함으로서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필요한 기초개념을 적용해서 현실성 있는 현장경험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콘텐츠벤치마킹과사례연구(Contents Benchmarking and Case Study)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 사례를 발굴하고 이들 콘텐츠의 성공과 실패 요인을 분석한다. 벤치마킹 기법을 학습해서 보다 체계적인 사례분석을 체험하는 교과목이다.

융합미디어서비스분석세미나(Seminar for Analysing Convergent Service)

웹이나 IPTV 등과 같은 융합미디어의 서비스는 채널을 통해 콘텐츠를 공급하는 전통적인 미디어와 다르게 다양한 기술적 매개 장치가 결합된 서비스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 교과목에서는 미디어 서비스 트렌드를 추적하고 관련된 응용소프트웨어 기술 추이를 이해한다.

미디어문화트렌드분석(Analysis of Media Culture Trend)

디지털기술에 따른 거시 사회구조변화를 조망하는 교과목으로, 미디어를 둘러싼 제반환경인 정치, 사회, 문화, 기술, 제도 등의 거시적 패러다임 변화를 다루고 다양한 사례를 학습한다.

광고·PR의 이해(Understanding Adevertising & PR)

광고와 PR의 개념과 기능, 역사적 발전과정과 대행사, 제작, 관리 및 효과 등에 대해 기초적 이론을 바탕으로 광고와 PR에 관한 전반적인 이해를 갖도록 한다.

조직커뮤니케이션(Organizational Communication)

집단커뮤니케이션 중에서 주로 목표지향집단인 조직의 특성을 조직 이론의 시각에서 검토하고 집단 및 조직 내에서의 커뮤니케이션 현상과 과정 및 효과와 영향력을 분석 연구한다.

광고와 PR을 수행함에 있어 현재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계량적 조사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한다.

통합마케팅커뮤니케이션(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마케팅을 판매하는 기능으로서 협소하게 정의내리기 보다는 통합된 기업 활동이라는 종합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방식을 통합마케팅커뮤니케이션이라 한다. 기업이나 조직의 외부환경과 소비자 데이터를 통해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한 일련의 종합마케팅 기법을 학습한다.

소비자분석(Analysis of Consumer)

광고와 PR 활동과 연관된 소비자들의 심리와 행동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광고·PR산업(PR Industry)

국내외의 PR 산업의 실태와 산업 내용 및 조직, 구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산업적 발전 가능성 및 제반 문제를 검토하고 가장 적절한 개선 방안을 모색한다.

국제광고론(International Advertising)

국가 간 또는 다국적 기업 간의 교류에 따라 국제적 차원에서 전개되는 각종 광고 및 PR의 현황을 이해하고, 세계화 과정 속에서 국제광고와 PR의 효과를 논의한다.

인터랙티브광고(Interactive Advertising)

인터넷, 모바일미디어, IPTV 등 인터랙티브 미디어 광고시장 및 광고광고기법을 학습하고 관련 이론을 통해 새로운 광고기법의 활용능력을 배양한다.

브랜드커뮤니케이션(Brand Communication)

현대사회에서 중요시되는 브랜드와 연관된 이미지 형성과 이를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브랜드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제반 이론과 실무적 능력을 배양한다.

설득커뮤니케이션(Persuasive Communication)

광고·PR 현상에 필요한 설득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습득하고 이를 적용하여 소비자를 설득하기 위한 전략적 사고와 실무 능력을 배양한다.

위기관리(Risk Management)(◀위기관리와 광고․PR)

기업 및 조직을 둘러싸고 발생한 다양한 위기 상황을 대처하기 위한 기법을 학습한다. 위기를 지각하고 위기에 대앙하는 방법, 위기극복의 다양한 시나리오 기법, 위급한 경영상태에서 커뮤니케이션 기법 등을 학습한다.

광고기획론(Advertising Planning)(◀광고․PR기획과프리젠테이션)

광고제작 과정에 있어서 조사 과정과 이를 바탕으로서 효율적인 기획서 작성 기법을 연마하고, 이를 광고주에게 효과적으로 설득하기 위한 기법을 습득한다.

광고디자인(Advertising Design)

광고의 시각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효율적이고 설득적인 광고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해 디자인에 관한 창조적 능력과 기능 및 기술을 배양하는데 중점을 둔다.

카피라이팅(Copy Writing)

설득적 메시지로서 광고와 PR 문장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소비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카피 작성 방법을 습득하기 위해 창조적인 문장 작성 방법과 각종 수사학의 기법을 학습하고 연마한다.

온라인PR (Practice of Online PR)

디지털 미디어에 관련된 이론들을 기초로 이를 활용한 PR 활동에 대하여 논의하고 실습함으로써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공연기획과 이벤트(Performance planning & Event)

각종 공연과 이벤트에 관련된 기획과 실행과정에 필요한 기본적 이론을 바탕으로 이를 실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프리젠테이션기법(Presentation Technique)

발표와 설명에 필요한 커뮤니케이션 기법을 학습하고 발표도구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도구적 기술도 병행해서 학습한다.

쟁점관리(Issue Management)

조직의 활동과 관련한 이슈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조직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잠재이슈들을 확인하는 기법들을 학습한다. 기업활동 및 공공정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 이슈를 예견함으로써 특정 사안이 위기상황으로 발전되는 예방하는 방법이다.

명성관리(Reputation Management)

조직의 무형자산으로서 축적된 활동의 결과물인 명성을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이론과 실무를 학습한다. 명성관리는 브랜드관리보다 확장된 개념으로 기업 및 조직의 내적 활동과 외부적 이미지를 모두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